안녕하세요. 안산한의원병원 생명마루한의원입니다. 오늘은 ulnar nerve에 팔꿈치에서 압박받는 cubital tunnel syndrom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ulnar nerve의 해부와 cubital tunnel
cubital tunnel은 주두와 내측 상과 사이에 존재하는 4mm정도의 틈을 띠처럼 덮고있는 cubital tunnel retinaculum에 의해서 형성됩니다. cubital tunnel을 지나가는 구조물 중에 ulnar nerve가 있습니다.
ulnar nerve는 상완신경총의 안쪽 다발의 종말가지로 경추 8번과 흉추 1번에서 신경근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를 포함합니다. 상완부에서 ulnar nerve는 내측근간격막 앞을 지나다가 아래 1/3지점에서 격막을 뚫고 격막과 상완삼두근에 인접해서 진행합니다. 전완부의 자측수근굴근의 양갈래 사이를 지나가기 위해서 cubital tunnel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러한 ulnar nerve의 해부학적 배열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제한된 경로로 지나가게 되고, 주관절의 회전 축에서 먼 곳으로 가게 됩니다. 이에 주관절의 움직임에 따라서 신경이 늘어나고 cubital tunnel에서 미끄러짐이 나타납니다. 신경 자체가 5mm 정도는 신장될 수 있지만, 주관절 내에서의 미끄러짐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주관절의 굴곡은 신경내의 압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cubital tunnel을 55%로 좁게 만듭니다. 팔꿈치에서 ulnar nerve의 압박이 주로 생기는 구조물로는 스트레더활, 내측근간격막, 내측상과, cubital tunnel, 심지굴근 건막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cubital tunnel에서의 압박이 가장 자주 나타납니다. 번외로 팔꿈치를 벗어나서 우리 인체 내에서 ulnar nerve가 압박받기 쉬운 곳들로는 경추8번의 신경근병증, 흉곽출구증후군, cubital tunnel syndrome, Guyon’s canal등이 있습니다.
2. cubital tunnel syndrome에서 신경에 손상을 주는 기전
cubital tunnel syndrome에서 압력 뿐만 아니라 견인력과 마찰등도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신경에 압력이 가해지면 신경의 손상이 물리적 압력으로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신경 주위의 혈액 공급량을 감소 시켜서 부분적 허혈상태에 의해 간접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주관절에 외상으로 cubital tunnel 벽에 신경이 얽히거나 tunnel이 긴장으로 좁아지면 정상적인 미끄러짐이 나타나지 못하게 되면서 견인력과 마찰로 인해 신경의 손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ubital tunnel syndrome의 악화 인자
-당뇨병이 있으면 ulnar nerve에 증상이 잘 생깁니다.(신경이 압박에 취약하게 됩니다.)
-주관절을 굽힌 자세를 오래 취하고 있을 때
-주관절을 굽히고 팔꿈치로 딱딱한 곳에 기대고 있을 때
-주두와 내측과 사이에 직접적인 충격이 있었을 때
-내반주, 외반주가 심할 때
-진동을 하는 도구를 오래 사용하여 작업했을 때
-오랫동안 무거운 공구로 반복적인 작업을 했을 때
-비만
-야구에서 투구동작과 같이 팔을 올리는 동작을 많이 할 때
3. ulnar nerve의 포착시 나타나는 증상
주로 4,5번째 손가락에서 감각이상이 나타납니다. 많은 환자분들이 첫 번째로 호소하는 증상이 감각이 무딘 증상입니다. 상태가 점점 진행되면서 손에 힘이 줄어들고 근육의 위축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ulnar nerve가 분지하는 4,5번째 손가락에서 claw변형이 나타나거나 새끼손가락이 외전되어 모을 수 없는 Wartenberg's sign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4. 치료
cubital tunnel syndrome을 진단 받았다고 해서 꼭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적절한 생활 교정과 침치료, 봉침치료, 약침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로도 충분히 증상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보전적인 치료로 증상호전이 안되고 감각이상, 감각손실 등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에는 수술을 고려해 봐야 합니다.
수술법으로는 cubital tunnel을 싸고있는 retinaculum의 섬유를 세로로 절개해주거나, 제자리에서 신경의 압력만 줄여주거나 ulnar nerve의 위치를 내측상과 앞으로 옮겨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몇몇 환자들은 capal tunnel syndrome의 증상도 수술후에 좋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수술 후에 지속적인 감각이상, 반사성 교감신경 영양장애, 혈종, 감염, 내측상완신경과 전완피부신경의 신경종, 지속적인 감각 소실, 지속적인 근력약화 등이 나타날 수 있어서 주의 하여야 합니다.
4-5지에 이상감각이 나타나거나 감각저하, 근력약화등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한의원에서 보존적인 치료를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보존적 치료와 생활습관의 교정으로도 증상의 호전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가까운 한의원에서 상담 받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댓글